본문 바로가기
청년 복지

서울시 역세권 청년 주택 지원 자격, 신청 방법

by Zoe215 2023. 4. 3.

 

서울시에서 청년 주거정책의 일환으로 4월 12일부터 3일 간역세권 청년주택 입주자를 모집합니다! 이름 그대로 역세권에서 저렴한 거주할 수 있어 신청 인원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2023 역세권 청년주택에 관해 자세하게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썸네일
역세권 청년주택 바로가기!

 

역세권 청년주택이란

 

역세권 청년주택은 무주택 청년과 신혼부부의 주거안정을 위해 민간과 공공이 협력하여 대중교통 중심 역세권에 저렴하게 공급하는 임대 주택입니다. 말 그대로 역세권에 위치하고 있어 편리한 교통에 저렴한 가격으로 거주할 수 있으니 자격이 되신다면 꼭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 역세권청년주택 신청 바로가기

 

임대료

역세권 청년주택의 임대료는 공공이냐 민간이냐에 따라 가격이 상이합니다. 공공 임대의 경우는 시세 대비 30~70%, 특별 공급은 시세 대비 85%, 일반 공급은 시세 대비 95% 수준입니다. 

 

 

역세권청년주택 지원자격

 

입주 신청자는 입주자모집공고일 현재 만 19세 이상 만 39세 이하로서 소득, 총 자산, 자동차 보유 기준, 무주택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신혼부부의 경우에는 혼인 기간이 7년 이내, 예비 신혼부부의 경우는 입주 전까지 혼인 사실을 증명할 수 있어야 하는데요.

 

지원 자격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자동차 보유 기준입니다. 즉,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다면 입주 신청을 할 수 없습니다.

 

아래에서는 소득기준과 자산기준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소득 기준 >

공공 임대의 소득 기준은 해당 세대의 월평균 소득 합계가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100% 이하, 민간 특별 공급은 120% 이하여야 합니다. 다만, 민간 일반공급 주택은 소득 제한이 없습니다.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 소득]

구분 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 4인 가구 5인 가구
100% 3,353,884원 5,005,376원 6,718,198원 7,622,056원 8,040,492원
120% 3,854,535원 6,006,451원 8,061,837원 9,146,467원 9,648,590원

 

< 자산 기준 >

청년과 (예비) 신혼부부의 자산 기준은 다른데요. 청년의 경우 보유하고 있는 총 자산가액 합산기준 2억 8,800만 원 이하, 신혼부부는 자산가액 3억 2,500만 원 이하여야 합니다.

 

 

역세권 청년주택 신청방법

 

서울시 역세권 청년주택은 아래의 SH공사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으로 신청 가능합니다. 

 

청약 신청 일정 : 2023.04.12.(수) 10:00 ~ 2023.04.14.(금) 17:00
당첨자 발표일 : 2023.08.09.(수)
계약 기간 : 2023.08.28.(월)~2023.08.30.(수)
문의 전화 : 서울주택도시공사 콜센터 1600-3456

 

역세권 청년주택 신청하러 바로 가기!

 

sh서울주택도시공사

천만시민과 함께 주거안정과 주거복지에 기여하는 서울주택도시공사

www.i-sh.co.kr

 

 

 

 

오늘은 서울시 역세권 청년주택 지원자격과 신청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갈수록 주거비가 부담이 되고 있는 요즘, 자격이 되시는 분들은 꼭 신청하셔서 청년지원혜택을 누리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