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두절미하고, 경제적으로 어려운 청년들이 목돈을 마련하여 든든하게 사회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정부에서 만든 '2023 청년내일계좌'에 대해서 바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청년내일저축계좌 지원 대상
- 신청 당시 만 19~34세 청년
- 수급자·차상위자는 만 15~ 39세까지 허용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저소득층 청년들을 위해 만들어졌기 때문에 일반 신청자는 만 19세에서 34까지 가능하지만, 수급자와 차상위자는 만 15세에서 39세까지 폭넓게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2. 청년내일저축계좌 지원 내용
- 3년 간 월 10만 원 + 정부 지원 10만 원 추가 적립
청년내일저축계좌는 본인 적립액 월 10만 원과 정부지원금 월 10만 원을 추가 적립하여 3년간 지원하고 있는데, 만기 시에는 본인 납입액 360만 원을 포함해서 총 720만 원 적립금에 더해 예금이자까지 수령할 수 있습니다.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청년은 정부지원금이 월 30만 원이 적립되어 3년 뒤에는 총 1,440만 원의 적립금과 예금이자를 수령할 수 있네요. 조건이 된다면 지원하지 않을 이유가 없는 적금상품입니다. 아래의 소득·재산 조건을 확인하시고, 해당자라면 신청 기간에 놓치지 말고 지원하세요!
▶ 정부 지원금 전액 수령 조건
정부 지원금을 무조건 지급하는 것은 아니고, 전액 수령을 위한 네 가지 조건이 있습니다. 지원금 전액을 수령받기 위해서는 가입 후 3년간 근로활동을 지속하면서 매월 10만 원 이상 저축을 하고, 교육(총 10시간) 이수 및 자금 사용계획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 전액 수령 필수 조건 >
- 3년간 근로활동
- 매월 10만 원 이상 저축
- 교육(총 10시간) 이수
- 자금사용계획서를 제출
3. 청년내일저축계좌 소득·재산 조건
그럼 이제 청년내일저축계좌 가입이 가능한지 소득과 재산 기준을 살펴보겠습니다.
① 가구소득
-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청년내일저축계좌의 가구 조건은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입니다. 아래의 표는 2023년 기준으로 기준 중위 소득 100% 구간입니다. 본인이 속한 가구 소독이 아래에 나오는 금액보다 낮아야 가입이 가능합니다.
② 재산
- 대도시 : 3.5억 원 이하
- 중·소도시 : 2억 원 이하
- 농어촌 : 1.7억 원 이하
③ 근로·사업 소득
- 월 50만 원 초과 ~ 200만 원 이하
기본적으로 소득이 있어야 가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구소득, 재산에 부합한다 하더라도 현재 취업준비 중이거나 근로활동을 하지 않는 경우는 지원 신청을 할 수 없습니다.
일반 대상자의 경우는 월 50만 원 초과부터 200만 원 이하의 청년이 가능하고, 저소득층의 경우는 별도의 근로 및 사업소득 금액 기준을 따로 정하지 않고, 근로·사업 소득이 존재한다면 청년내일저축계좌 지원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4.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방법
- 복지로 온라인 신청 또는 주민센터 방문
복지로 바로가기 https://www.bokjiro.go.kr
[프로세스]
초기상담 및 서비스 신청(주민센터, 복지로)→대상자 통합조사 및 심사→결과 발표(대상자 확정)→서비스 지원→사후 관리
지금까지 청년내일저축계좌 대상자와 지원 내용, 조건, 신청방법까지 알아보았는데요. 정말로 혜택이 가득한 상품입니다. 2023년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일은 구체적으로 나오지 않았지만, 미리미리 준비하셔서 놓치지 마세요!
'청년 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청년도약계좌 자격 조건, 혜택, 신청 방법 (0) | 2023.04.03 |
---|---|
청년도약계좌 vs 청년희망적금 비교 분석 끝판왕 (0) | 2023.03.28 |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궁금하신가요? 대상자, 조건, 신청 (0) | 2023.03.27 |
청년도약계좌 완전 정복 핵심 정리! (0) | 2023.03.26 |
2023 경기도 청년 복지 포인트 120만 원 신청,대상, 자격 알아보기 (0) | 2023.03.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