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올 6월에는 청년도약계좌 신청이 시작됩니다. 두 상품은 중복 가입이 되지 않기 때문에 기존에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라면 갈아타야 할지 유지를 하는 것이 좋을지 고민이 되셨을 텐데요. 그래서 오늘은 두 통장을 비교 분석해 보겠습니다.
청년희망적금 vs 청년도약계좌
먼저 가입 대상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가입 대상]
청년희망적금 | 청년도약계좌 | |
가입 대상 | 동일함 [가입일 현재 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 병역이행자(6년) 39세까지 가능 ] | |
소득 제한 | -직전년도총 급여액 3,600만원 이하 -종합소득금액이 2,600만원 이하 |
-직전년도총 급여액 6000만원 이하 (6000~7500만원 소득자 비과세 혜택만) - 종합소득금액이 2천만원 이하 |
가구 소득 제한 | 없음 | 중위소득 180% 이하 |
1. 나이 조건
나이 조건은 동일합니다. 신청 당시 만 19세에서 34세까지 가입 신청이 가능한데요. 군필자의 경우에는 나이에 6년을 포함하기 않기 때문에 39세까지 가입 대상자가 됩니다.
다만, 두 상품 모두 직전 연도 근로소득이 있어야 가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근로소득이 없는 대학생과 무직자는 가입이 제한됩니다.
2. 소득 기준
청년희망적금은 총급여액이 3600만 원, 종합소득금액 2,600만 원 이하인 청년이 가능했다면, 청년도약계좌는 총 급여액 7500만 원까지로 범위가 넓어졌습니다.
총급여액 6천만 원 까지는 소득에 따라 정부지원금이 차등 지급되지만, 6천만 원 이상부터 7천5백만 원 까지는 정부지원금 혜택 없이 비과세 혜택만 적용됩니다. 또한 종합소득금액도 2천만 원 이하로 하향되었습니다.
3. 가구 소득
청년희망적금은 가구소득 제한 조건을 따로 두지 않았는데요. 청년도약계좌에서는 가구소득 제한을 두고 있습니다.
가구중위소득 180% 이하인데요. 가구에 따라 금액이 상이하니 2023 중위소득 및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특별해지조건 등 더 자세히 알고 싶은 분들은 페이지 맨 아래에 있는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혜택 비교]
지금부터는 청년희망적금과 청년도약계좌의 혜택을 비교 분석해 보겠습니다.
청년희망적금 | 청년도약계좌 | |
적금 만기 | 2년 | 5년 |
금리(이자율) | 5% + 은행별 우대금리 (고정) | 해당 시점의기준금리 + 고정금리 기간 중 적용되었던 가산 금리 (3년 고정 후 2년 변동) |
월 납입금 | 월 최대 50만원 | 월 최대 70만 원 |
정부 지원 (장려금) | 1년차 2%, 2년차 4% (최대 36만원) |
소득에 따라 최대 6% 차등 지급 (최대 144만원) |
과세 | 비과세 | 비과세 |
1. 적금 기간
▷ 청년희망적금 : 2년
▷ 청년도약계좌 : 5년
먼저 적금 기간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청년희망적금은 2년 만기로, 당시 가입하셨던 분들은 2024년 2,3월 중 만기가 되는데요. 청년도약계좌의 경우는 올해 6월부터 12월까지 가입이 가능합니다.
두 상품은 중복가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청년희망적금을 가지고 계신 분들은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시려면 기존 계좌를 해지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두 상품의 혜택을 꼼꼼히 살펴보고 본인에게 적합한 상품을 유지하거나, 해지 후 가입을 하시면 됩니다.
5년의 적금 기간은 청년들에게는 꽤 긴 시간인데요. 5년 간 청년도약계좌를 유지해야만 온전히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꾸준히 적금을 하시는 분들에게는 좋을 것 같네요.
2. 금리
▷ 청년희망적금 : 5% + 은행별 우대금리 (고정)
▷ 청년도약계좌 : 해당 시점의 기준금리 + 고정금리 기간 중 적용되었던 가산 금리 (3년 고정 후 2년 변동)
청년희망계좌는 은행마다 우대금리가 달라서 개인별로 차이가 있겠지만 5%의 기본금리를 책정했었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아직 금리가 확정되지 않았는데요.
청년희망계좌 신청을 받는 6월의 '기준 금리'와 '고정 금리 기간 중 적용되었던 가산 금리'를 더하여 금리가 확정될 예정입니다. 현재 경제 상황이 계속해서 바뀌고 있기 때문에 3년 고정 후 2년은 변동금리로 적용됩니다.
3. 월 납입금
청년희망계좌는 월 납입금은 최대 50만 원, 청년도약계좌는 월 최대 70만 원입니다. 청년도약계좌의 경우는 소득 기준에 따라서 기여금 지급 한도라는 것이 있는데, 소득이 적을수록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4. 정부 지원
청년희망적금 정부지원금(저축장려금)은 2년간 최대 36만 원, 청년도약계좌는 5년간 최대 144만 원 정도 받을 수 있습니다.
5. 과세
두 상품 모두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청년희망적금과 청년도약계좌의 대상자와 지원내용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개인 소득 부분에서 청년도약계좌의 범위가 넓어 더 많은 청년들이 가입이 가능하지만, 가구소득 제한을 꼭 확인해 주시구요. 정부 지원금도 다르기 때문에 두 상품을 꼼꼼히 비교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6월에 곧 출시될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청년도약계좌 완전 정복 핵심 정리!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을 대상으로 최대 월 70만 원씩 5년간 모으면 5000만 원의 목돈을 만들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정부지원 사업인데요. 소득에 따라 월 납입금의 최대 6%까지 정부가 보조하고, 여
zoe215.tistory.com
'청년 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 역세권 청년 주택 지원 자격, 신청 방법 (0) | 2023.04.03 |
---|---|
2023 청년도약계좌 자격 조건, 혜택, 신청 방법 (0) | 2023.04.03 |
청년내일저축계좌 핵심 정리! (0) | 2023.03.28 |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궁금하신가요? 대상자, 조건, 신청 (0) | 2023.03.27 |
청년도약계좌 완전 정복 핵심 정리! (0) | 2023.03.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