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신 준비

서울시 난임 지원

by Zoe215 2023. 4. 9.

 

서울시 난임 지원 사업은 보험 적용 횟수를 모두 사용한 부부에게 소득을 따지지 않고 추가로 1회분의 시술비를 지원하는 사업인데요. 정부의 난임 지원금과는 별개로 지자체에서 추가 제공하는 지원금입니다.

 

정부 난임 지원금을 모두 소진 후 추가 시술을 고민하셨다면 아래 자격조건을 확인하고 바로 신청해 주세요!

 

 

잠깐! 정부 난임 지원금이 궁금하시다면?

 ☞  정부 지원 난임부부 시술 지원금 확인하기 

 

난임 부부 시술비 지원 (체외 수정, 인공 수정)

아이를 갖는다는 건 축복이지만, 준비과정에서의 어려움이 만만치 않죠. 정부에서도 난임 부부 지원 정책을 내놓고 있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을 받기 위한 신청 자격과 비

zoe215.tistory.com

 

서울형 난임부부 지원 사업 안내

 

썸네일
서울형 난임부부 지원 산업

 

지원 대상 

서울시 난임 시술비 지원은 여성을 기준으로 서울시 거주 기간이 6개월 이상인 난임부부입니다. 물론 사실혼 부부도 신청이 가능하다고 하네요. 

 

최외 수정 신선 배아 건강보험 횟수인 신선배아 시술 9회를 모두 소진했다면 지원대상에 속하는데요. 정부 지원 최대인 신선배아 9회 차까지의 시술을 한 후 추가 시술이 필요하다면 서울시 난임부부 지원을 신청하셔서 10회 차 지원을 받으시면 됩니다. 

 

단, 2021년 11월 15일 이후 신선배아 건강보험 횟수 7회 소진자는 신청이 불가능하고, 2022년 1월 1일 이후 건강보험 횟수 9회 소진자는 신청이 가능하다는 점 참고해 주세요. 

 

             ☞ 서울형 난임부부 지원 신청 바로가기             

 

지원 내용

서울시 난임 지원 사업은 2021년 이후 최초신청자에 대해 1회 최대 180만 원까지 지원하고 있습니다. 2020년 최초 신청자의 경우는 2020년 지원기준인 3회 중 잔여 지원 횟수가 인정되는 사람에 한해서 지원이 된다고 하네요. 

 

지원 범위

서울시 난임 지원사업은 시술의료기관에서 시술 기간 동안 발생한 시술비 및 과배란 유도 약제 비용(본인부담금, 비급여)을 지원합니다. 

 

신청 방법

 

 

서울시 난임 지원사업은 온라인으로 신청이 가능합니다. 지원 신청은 서울시 임신·출산 정보센터에서 회원가입 후 신청하시면 되는데요. 시술 당사자인 여성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배우자 개인 정보 동의는 필수입니다.

 

             ☞ 서울형 난임부부 지원 신청 바로가기             

 

[체외수정 시술 지원 4단계]

1. 병원에서 제출용 체외수정시술 난임진단서를 발부받음(시술일 기준 1개월 이내 발급분)
                                                ↓
2. 서울시 임신출산 정보센터에서 온라인으로 [서울형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신청]함
                                                ↓
3. 자치구 보건소에서 심사 후 온라인상으로 지원 결정 승인
                                                ↓
4. 지원 결정 승인 후, “지원결정 통지서”를 출력 후 난임시술 병원에 제출하고 시술받음

 

난임시술 이후 시술비 지원금을 보건소에서 병원에 지급하게 됩니다.

 

 

난임 시술 기관 찾기

○ 서울시 임신출산 정보센터 홈페이지 (https://seoul-agi.seoul.go.kr)에서 로그인 후 : 마이페이지 > 우리 동네 병원 찾기 > 주소지 : 선택, 분류(선택) : 난임 체외수정 시술기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