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를 하나 키우는데 기쁨도 크지만 경제적 부담도 만만치 않는데요. 힘든 만큼 국가에서도 아동과 부모를 위한 지원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아동 복지 혜택 중 부모 급여, 양육 수당과 아동 수당을 알아보고 중복 여부도 함께 확인해 보겠습니다.
1. 부모급여
부모 수당이라고도 불리는 부모급여는 아이의 출산으로 인한 소득 감소와 경제적 부담, 양육자와 아이의 행복한 시간을 보장해 주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2022년까지 시행되었던 영아 수당이 2023년부터 부모 급여로 변경되면서 지원금액도 늘어났는데요.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부모급여 지원 대상 및 금액
▷ 만 0세 : 월 70만 원
▷ 만 1세 : 월 35만 원
2022년 이후 출생아부터 적용이 됩니다. 가정에서 보육을 하는 경우는 위의 지원금을 모두 받게 되는데요.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경우는 만 0~1세까지 '보육료 바우처 (51만 4000원)'를 받습니다.
만 0세가 어린이집에 다닌다면 부모급여인 70만 원 보다 작기 때문에 그 차액인 18만 6000원을 현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 방법
부모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아동의 출생일을 포함해 60일 이내에 신청을 해야 합니다. 신청일은 정말 중요한데요. 생후 60일이 지난 후에 신청하는 경우는 신청한 달부터 부모급여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하셔합니다.
신청방법으로는 직접 방문과 온라인이 있습니다.
▷ 방문 : 아동의 주민등록상 주소지 주민센터로 방문 신청
▷ 온라인: 복지로, 정부 24, 누리집 홈페이지를 통한 온라인 신청
2. 양육 수당 (가정 양육 수당)
양육수당은 어린이집이나 유치원과 같은 기관에 보내지 않고, 가정에서 아이를 돌보는 경우에 한해서 부모의 자녀 양육에 대한 부담을 줄이기 위한 수당입니다.
아동의 개월수에 따라 지급 금익이 달라지는데요. 아래에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양육수당 지원 대상 및 금액
▷ 0 ~ 11개월 : 월 20만 원
▷ 12 ~ 23개월 : 월 15만 원
▷ 24 ~ 86개월 : 월 10만 원
2023년부터 부모급여가 도입이 되었기 때문에 2022년 이후 출생한 아동에 대해서는 부모급여 지원이 끝나는 24개월부터 초등학교 취학 전인 2월까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양육 수당은 가정에서 보육을 할 때만 지급이 되기 때문에 어린이집과 유치원과 같은 기관에 다닐 경우에는 ‘보육료 바우처’로 전환됩니다.
장애 아동 양육 수당과 농어촌 양육 수당이 궁금하시다면 아래의 포스팅을 확인해주세요.
가정 양육 수당(장애 아동, 농어촌 양육 수당 포함) 총 정리
가정 양육 수당은 가정에서 아동을 돌보는 경우, 부모의 자녀 양육에 대한 경제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만들어진 제도인데요. 아이가 어린이집과 같은 보육 기관에 가지 않는다면 신청할 수
zoe215.tistory.com
신청 방법
신청방법으로는 직접 방문과 온라인이 있습니다. 참고로 복지로 홈페이지에서는 영유아의 부모만 양육 수당 신청이 가능하므로, 신청이 불가한 경우에는 주민센터에서 방문 신청 해주셔야 합니다.
▷ 방문 : 아동의 주민등록상 주소지 주민센터로 방문 신청
▷ 온라인: 복지로
3. 아동수당
아동수당은 만 8세 미만의 아동의 양육을 담당하고 있는 부모의 부담을 덜고, 아동 복지 증진을 위해 도입된 수당입니다.
아동 수당 지원 금액
▷ 0 ~ 95개월 : 월 10만 원
가정 보육이나 기관에 다니는 것과 상관없이 만 8세 미만의 모든 아이들에게 지급됩니다. 양육수당과 다르게 초등학교1학년 생일 전까지 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양육수당과 아동 수당이 조금 헷갈릴 수 있는데요. 양육수당은 가정보육을 하는 아이에게만 지급하는 수당이고, 아동수당은 만 8세 미만의 아이라면 누구나 받을 수 있습니다.
단, 90일 이상 해외에서 체류할 경우 지급이 중단됩니다.
신청 방법
신청방법으로는 직접 방문과 온라인이 있습니다.
▷ 방문 : 아동의 주민등록상 주소지 주민센터로 방문 신청
▷ 온라인: 복지로
중복여부
중복 여부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이 많을 텐데요. 부모 수당과 양육수당은 중복지원이 불가합니다. 그러나 부모수당과 아동수당, 양육수당과 아동수당은 중복 지원이 가능합니다.
부모급여, 아동수당, 양육수당 지원금은 매달 25일에 통장으로 직접 입금을 해주는데, 지자체에 따라서는 지역화폐로 지급될 수 도 있다고 하네요.
지금까지 영아 수당에서 변경된 부모급여와 가정 양육 수당, 아동 수당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궁금증이 풀리셨다면 좋겠네요. 아이와 함께 항상 행복하세요!
'아동 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첫만남 이용권 신청 방법, 잔액 확인, 쿠팡, 이마트 (0) | 2023.04.05 |
---|---|
유아 학비, 방과후 과정비 지원 대상, 금액, 신청 (0) | 2023.04.05 |
아동 수당 나이, 금액, 신청 방법 (0) | 2023.04.05 |
부모 급여 대상, 신청, 지급일 (0) | 2023.04.05 |
가정 양육수당(장애 아동, 농어촌 양육 수당 포함) 총 정리 (0) | 2023.04.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