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을 준비하고 있다면 받을 수 있는 정부 지원 혜택 중 하나인 임신 바우처! 임신을 계획 중이라면 미리미리 알아보면 좋겠죠? 그럼 임신 바우처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임신 바우처란?
임신과 출산에 관련된 의료비의 부담을 줄여주고, 출산 친화적인 환경을 산모에게 제공해 주기 위해 정부에서 지원하는 서비스입니다.
임신 바우처는 단태아 100만 원, 다태아 140만 원, 분만 취약자는 +20만 원까지 지원합니다. 현금이 아니라 포인트의 형태로 지급되며, 가맹점에서 결제 시 포인트가 차감됩니다.
임신 바우처 사용처
임신과 출산에 관련된 병원비, 약제비를 임신 바우처 포인트로 결제할 수 있기 때문에 전국의 모든 산부인과, 병원, 약국 등 요양기관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또한 2022년부터는 치과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좀 더 폭넓게 사용이 가능하네요.
임신 바우처를 산부인과가 아닌 다른 진료과목 병원에서 사용 시 바우처로 결제를 해 달라고 해도 카드결제 대금이 나오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요. 그럴 때는 당황하지 마시고, 할부 개월수를 '38개월'로 해달라고 요청하시면 됩니다.
다만, 산후 조리원은 지원이 되지 않습니다. 산후 조리원은 출산 후 지원하는 '첫 만남 이용권'으로 사용이 가능하니, 첫 만남 이용권이 궁금하시다면 아래의 포스팅을 확인해 주세요.
첫만남 이용권 신청 방법, 잔액 확인, 쿠팡, 이마트
현재 정부에는 급격하게 감소하는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서 여러 정책들을 내놓았는데요, 오늘은 생애 한번 받을 수 있는 첫 만남이용권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첫 만남이용권이란 출산 시
zoe215.tistory.com
온라인 신청 방법
산부인과에서 '건강보험 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 신청'과 '임신확인서'를 받아서 임신정보를 공단에 등록해야 하는데요. 보통 병원에서 임신 정보를 등록해 주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카드 신청만 해주시면 됩니다.
< 국민행복카드 신청가능 카드사 >
카드사마다 특별한 혜택을 확인하고 자신에게 맞는 국민행복카드를 선택해 주세요. 연회비는 면제입니다.
카드사 혜택 및 신청 바로가기
국민행복카드를 신청하면 자동으로 지원금이 적립되지 않고 신청하신 카드사 앱이나 고객센터를 통해서 바우처를 등록해야 사용할 수 있다는 점 기억해 주세요.
임신 바우처 사용 기간
임신 바우처의 포인트는 출산 혹은 유산 진단일로부터 2년까지 사용이 가능합니다.
포인트 잔액 조회
지원금만 생각하고 카드를 사용하다 보면 지원금을 초과해서 사용하게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잔액조회는 수시로 해 주시는 것 이 좋은데요.
임신 바우처 잔액 포인트는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도 들어가셔서 로그인 후 오른쪽 퀵메뉴에 있는 바우처 서비스 이용현황에서 잔액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임신 바우처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출산까지 금액이 충분하진 않더라도 어느 정도 도움은 받을 수 있을 듯합니다. 모르면 놓칠 수 있는 아동 복지 관련 정부 지원 혜택 잘 준비하셔서 출산 후에도 다양한 정부 지원 꼭 받으세요!
함께 알면 좋을 정부 지원 혜택
맘편한 임신 서비스 지원, 임신 준비 혜택
아는 만큼 받을 수 있는 정부지원 혜택들! 임신을 준비하고 계신 분이나 임신하신 분이라면 받을 수 있는 여러 가지 혜택이 있는데요, 그 혜택을 하나씩 찾아보지 않아도 한 번에 신청할 수 있는
zoe215.tistory.com
출산 즉시 받을 수 있는 전기료 감면 혜택
영유아(출산), 다가구, 다자녀 전기세 감면 혜택 신청
아이를 양육하고 있는 가정의 경제적을 부담을 덜어주고 아동의 복지를 위해 정부에는 여러 가지 혜택들을 내놓고 있는데요. 오늘은 출산 후 영유아, 다가족, 다자녀 전기세 감면에 대해 알아보
zoe215.tistory.com
출산 즉시 받을 수 있는 부모 급여 알아보기
부모 급여 대상, 신청, 지급일
부모급여는 출산하고 아이를 양육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경제적인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도입되었는데요. 2022년 영아 수당이라고 불리던 지원금이 부모급여로 흡수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
zoe215.tistory.com
'아동 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부모 돌봄 수당, 서울시 조부모 급여 신청 방법 (0) | 2023.04.12 |
---|---|
임산부 자동차 보험 할인 알아보기 (0) | 2023.04.10 |
다둥이 공공 요금 감면 (0) | 2023.04.10 |
다둥이 카드 발급 (다자녀 카드) (0) | 2023.04.10 |
다자녀 금리 우대 가능 대출 3가지 (0) | 2023.04.10 |
댓글